티스토리 뷰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 기술
경제대표 : 김경대 2023. 11. 30. 23:32목차
아이와의 소통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이와의 소통이 잘 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부모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이와의 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아이는 자신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답답하고 화가 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이와의 소통을 위해 부모는 어떤 대화 기술을 사용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방형 질문을 해보세요.
아이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중에 하나는 개방형의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개방형의 질문이란 아이에게 어떤 질문을 했을 때, 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 유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학교에서 뭐 했어?"라는 질문은 아이가 "숙제하고 놀았어"라고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는 폐쇄형 질문입니다. 반면에 "오늘 학교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일은 뭐였어?"라는 질문은 아이가 자신의 하루를 상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개방형 질문입니다. 개방형 질문을 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이야기에 관심이 있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생각과 감정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2. 반응형 듣기를 해보세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또 다른 효과적인 대화 기술은 반응형 듣기입니다. 반응형 듣기란 아이가 말할 때 부모가 적극적으로 듣고, 아이의 말을 재구성하거나 요약하면서 피드백을 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오늘 친구랑 싸웠어. 친구가 내 장난감을 빼앗았거든. 그래서 나도 친구를 때렸어"라고 말했다면, 부모는 "오늘 친구랑 싸웠구나. 친구가 네 장난감을 빼앗아서 너무 화가 났겠다. 그래서 넌 친구를 때렸어?"라고 반응형 듣기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듣기를 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말을 잘 듣고 있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공감을 해보세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또 다른 효과적인 대화 기술은 공감입니다. 공감이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존중하고, 그 감정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오늘 시험에서 망했어. 너무 어려웠어"라고 말했다면, 부모는 "오늘 시험에서 망했구나. 너무 어려웠다고? 그럼 너무 슬프고 힘들었겠다"라고 공감을 할 수 있습니다. 공감을 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위로해준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공유하고 친밀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보세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또 다른 효과적인 대화 기술은 긍정적인 피드백입니다. 긍정적인 피드백이란 아이의 행동이나 성취에 대해 칭찬하고, 격려하고, 감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오늘 숙제 다 했어"라고 말했다면, 부모는 "오늘 숙제 다 했구나. 잘 했어. 너무 자랑스럽다. 고마워"라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노력과 성장을 인정하고 칭찬해준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자신감과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아이와의 소통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이와의 소통이 잘 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부모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이와의 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아이는 자신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느끼고, 부모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답답하고 화가 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해 효과적인 대화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와의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 기술로 개방형 질문, 반응형 듣기, 공감,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러한 대화 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아이와의 소통이 더욱 원활하고 즐거워질 것입니다. 아이와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부모님들에게 응원의 박수를 보냅니다. 감사합니다.